이승헌 교수, '천안함 1번' 온도논란 재반박 |
천안함 침몰 사건의 증거로 제시된 어뢰 추진체의 '1번' 글씨에 대한 논란이 반박에 재반박을 거듭하며 가열되고 있다.
지난 2일 송태호 카이스트(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천안함 어뢰 1번 글씨 부위 온도 계산'이라는 논문을 통해 "1번 글씨가 폭발 때 고열의 화염에 타 버렸어야 한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 이라고 밝혔다.
기계공학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에 대한 수학식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 1번 글씨가 씌어 있는 디스크 부분은 폭발 이후에 초기 온도에서 단 0.1℃도 올라가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그는 폭약이 바닷물을 밀어내는데 에너지를 쓰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고, 디스크의 두께가 50mm가량 되기 때문에 글씨가 있는 뒷면까지 열이 전달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고 전했다.
이는 이상훈 버지니아대 물리학과 교수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으로 이 교수는 지난 5월 31일 "폭발 직후 어뢰 추진 후부의 온도는 쉽게 350℃ 혹은 1000℃ 이상 올라가 잉크가 타버리게 된다"며 어뢰의 '1번' 글씨가 지워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송 교수의 반박에 이 교수는 재반박을 하고 나섰다.
이 교수는 5일 민주당 최문순 의원에게 전한 '송 교수의 버블팽창이 가역적이라는 가정의 맹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송 교수의 주장을 반박했다.
보고서에서 이 교수는
"송 교수의 가정대로라면 폭발 직후 초기 버블은 반지름 0.33m에 온도가 3003℃가 된다. 이것이 어뢰 길이인 7m에 해당되는 곳까지 팽창하면 영하 63℃가 되는 어처구니 없는 결과를 얻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교수는
"대기압의 기압은 1기압이므로 버블 내의 압력에 비하면 버블 밖의 압력은 진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비가역적 과정에서는 버블이 팽창할 때 굳이 추가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가 없다"며 "팽창 전후의 온도가 똑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어뢰 폭발에 초점을 맞춰 보면 7m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람은 3000℃의 기체로 화상을 입을 것이며 이는 이공계 대학생이 1학년 때 배우는 물리학 교과서에 나오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사진 = 서울신문NTN DB 서울신문NTN 뉴스팀ntn@seoulntn.com
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44915
-------------------------------
송교수는 아마 한 해 꿀코 2학년으로 곧장 "월반" 했나보구만..ㅋㅋㅋ |